고려 속요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0 19:03
본문
Download : 고려 속요의 이해.hwp
그런데 여기 한국 고전문학에서 고려 속요 또는 여요라 했을 때에는 단순히 고려시대에 민중 속에서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민요라고만 볼 수 없는, 상당히 복잡한 형성 배경과 향유 계층과 전승구조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고려시대에도 여느 시대와 마찬가지로 갖가지 형식의 노래가 다양한 정감을 담아 끊임없이 생산되고 전승되어 왔을 것이지마는, 불행하게도 그것을 기록할 수 있는 고유한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그 당시 노래의 제모습을 갖춘 유산은 거의 접해 볼 수 없는 현실이다. 즉, 이들은 수많은 고려 노래 중에서 의도적으로 선택 수용된 것이며, 또 특수한 목적과…(省略)
고려 속요의 이해
레포트/인문사회
고려속요의이해
Download : 고려 속요의 이해.hwp( 52 )
다.
그것은 이들 data(자료)가 왕실 중심의 관찬문헌으로서 민간의 노래까지를 고루 수집할 수 없다는 한계성과 고려가 망한 지 한 세기가 지난 뒤에야 전 왕조를 부정하고 역성혁명을 세운 조선 초기의 궁중 음악의 속악가사로서 수집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에, 현재 전하는 그런 노래가 바로 고려 노래의 원모습이라고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으며, 또 그런 특정한 몇 편의 노래로써 고려시가의 전모나 보편적인 양상이라고 속단해서는 안될 것이다.고려 속요의 이해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설명
고려 속요의 이해고려속요의이해 , 고려 속요의 이해인문사회레포트 ,
(1) 고려속요의 몇 가지 전제
속요의 사전적인 뜻은 일반 민중 사이에 널리 퍼져 돌아다니는 시속 노래로서, 그 발생 시기나 작자도 모르는 채로, 일정한 형식도 없이 자연스러운 률조에 맡겨 자유롭게 불려져 온 민요같은 노래를 가리킨다. 오늘날 우리가 고려 노래로 추정하는 20편 내외의 작품은 정인지 등이 순한문으로 써놓은 「고려사」와 15세기 이후에 선초 궁중악을 수집 요점한 「악학궤범」·「악장가사」·「시용향악보」와 이제현·민사평이 당시의 노래를 한시로 번역한 「소악부」 등을 참조하여, 당시 노래의 편모를 어렴풋이 짐작할 수 밖에 없는 것들이다. 속요의 정이를 이렇게 일반적으로 규정할 때, 그런 속요는 어느 민족, 어느 시대나 있을 것이고 또 있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