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천 참사 돕기 운동의 의미>에 대한 나의 생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11:53
본문
Download : 이가.hwp
레포트 > 예체능계열
설명
앞에서도 살펴보았듯이 이번 용천 참사는 보수와 진보를 아우르는 남한의 대대적인 구호운동을 촉발시켰고 북한도 사고요인과 피해규모를 신속하게 공개하면서 적극적으로 국제사회의 도움을 요청하는 등 기존의 폐쇄적인 태도에서 상당히 벗어나게 했다. 북한은 내부에서 일어난 각종 사건이나 사고를 외부에 잘 드러내지 않아왔고 각종 재난을 당했을 때도 외부에 식량, 의료장비 지원 등을 요청했을 뿐, 외국 자원봉사자들의 입국은 철저히 통제하는 등 체제수호차원의 폐쇄성을 철저히 견지해왔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이번 사고는 북한의 개혁 개방을 앞당기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대북강경정책으로 대립하던 미국의 인도적 지원의사를 수락하고 처음에는 난색을 표명했지만 육로를 통한 구호품 전달을 수락한 것도 이런 배경하에서 이루어진 북한의 태도 alteration(변화) 의 대표적인 예라 할 것이다. 하지만 북한은 이례적으로 사고 이틀 만에 사고 요인과 피해규모를 신속하게 공개하면서 국제사회의 도움을 적극적으로 요청하고 있따 예전과 같은 폐쇄적인 자세를 견지하기에는 북한 단독으로 이번 사고를 수습하기에 피해규모가 너무 큰 것이다. 정치권은 이것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야하며 정부는 이번 구호활동이 일회적인 지원이 아닌 지속적인 여러 형태의 남북한 교류로 이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
Download : 이가.hwp( 91 )
<용천 참사 돕기 운동의 의미>에 대한 나의 생각
<용천참사돕기운동의의미>에대한나의생각 용천참사 논술 / ()





다.
순서
<용천참사돕기운동의의미>에대한나의생각 용천참사 논술 / ()
<용천참사돕기운동의의미>에대한나의생각 용천참사 논술
북한의 태도alteration(변화) 또한 용천 참사 돕기 운동의 의미를 고찰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다. 이럴 때 남북한은 이런 상황을 남북 화해ㆍ 협력을 이끌어내는 기회로 십분 이용해야 한다. 기회는 늘 오는 것이 아닐것이다.